음양론은 최초 태양과의 관계변화에 따른 자연현상을 설명하는 단순한 용어에서 점차 그 의미가 변화하여 몇 가지의 상징적 개념과 특성을 가지고 사물이나 오행론 등에 적용 되어 왔다. 음양오행설은 본래 각기 다른 시대 환경에서 형성된 음양과 오행의 관념이 새로운 의미를 함축되고 통합되면서 형성된 고대 동양의 자연철학적 이해라고 정의 할 수 있다. 음양설은 모든 우주 만물에는 음과 양이 있어 그 변화무쌍한 조화로 움직이고 있다는 것으로 중국의 서주시대부터 내려온 음양과 육부를 기반으로 하여 형성된 것이며 오행은 자연의 물질로 표현하지만 실은 형태와 형질이 아니라 대기 속의 기이며 또 정이다. 월령과 합하기 전에는 음양과 오행의 개념이 분리되어 있었으나 음양이 계절의 기온변화에 적용되고 오행은 특정 사계절에 배속되면서 이 두 개념은 하나의 체계로 통합하게 된다. 태초에 하나의 기가 있었으니 기는 좁게는 음양만을 말하면서 넓은 의미로는 음양오행을 모두 말한다. 넓은 의미로 볼 때 기질 중 기가 되고 질이 된다. 기질 중 기에 속하는 음양은 처음에는 어둡다와 밝다를 구분하는 소박한 의미로 출발하였으나 현재는 현상과 사물들을 상대적이거나 상반되는 두 측면으로 옳고 그름, 정상과 비정상, 흑과 백의 둘로 나누어 보는 이분법적 분류개념으로 동양학 전반에서 폭넓게 사용되고 있음을 알수 있다. 예를 든다면 어두운 것은 음 밝은 것은 양으로 무거운 것은 음 가벼운 것은 양, 느린 것은 음 빠른 것은 양, 여자는 음 남자는 양 등으로 분류된다. 또한 고요하게 멈춰 있는 것은 음과 움직이는 것은 양으로 나뉜다. 음양의 관점에서는 보면 동정중에서 동은 양이고, 정은 음이다.
적천수에서는 음양오행의 특성에 대해 곤원이 건원과 덕을 합함으로써 하늘과 땅이 열리고 닫히는 기함이 통하게 되고 오행의 기에는 치우침과 온전함이 있으므로 길과 흉함이 정하여지는 것이며 건의 성정은 주로 강건, 곤의 성정은 주로 유순함을 말하고 있다. 이처럼 음의 특성은 어둡고, 약하고 부드럽고 매끄러운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며 양의 특성은 밝고 강하고 억세고 거친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음을 땅에 비유하며 양을 하늘에 비유 했을 때, 음은 하늘의 기운을 그대로 받아들려 땅에 꽃이나 자연현상으로 보여 지는 것과 같다보니 온순하면서 의존적이고 내향적이고 비활동적이고 순종적이라 할 수 있으며, 양은 단순하고 독립적이고 외향적이고 활동적인 성향으로 볼 수 있다. 그러다 보니 음은 내성적이며 소심하게 보여 지게 되고 실천보다 이론이 앞서는 경향이 많고 말보다 생각을 먼저 한다. 양은 외형적이며 매사 적극적이며 이론보다 실천이 앞서는 성향이 강해 말이나 행동으로 표현한다.
동중서는 천지의 기가 둘로 나뉘어져 나열하면 오행이 된다고 말하며 음양의 흐름이라는 시각으로 보면 목은 양기의 일어섬이니 봄이고, 화는 양기의 번성함이니 여름이며, 토는 음양을 이어주는 것이니 사계이다. 또한 금은 음기의 일어섬이니 가을이요, 수는 음기의 번성함이니 겨울이다. 한편 상서에서는 홍범편에서는 윤하, 염상, 곡직, 종혁, 가색 과 같은 물상적 특성에 비유하여 오행의 속성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고 있다. 즉 수는 적시고 내려가는 것이고 화는 타면서 올라가는 것이고 목은 굽고 곧은 것이고 금은 따르고 바뀌는 것이며 토는 심고 거두는 것이다. 중국 남송시기 서승의 편저로 서자평의 일간중심의 간명법을 처음으로 교칙한 명리서에서 오행이 갖고 있는 속성이 외부로 발현되어 나타나는 특징이고 할 수 있는 성정을 이해한다면 사주를 구성, 사람의 성격유형을 알 수 있고, 성정에 대한 것은 인간의 본성에서 우러나오는 마음씨, 즉 선천적이며 도덕적 능력을 말하는 맹자의 사단설에서는 목이 가지고 있는 성정에 대한 내용을 보면 목은 곡직하고 인을 주관하며 측은지심이 있다. 마음이 자애롭고 상냥하면서 사물을 잘 다루어 사람을 이롭고, 의로운 사람을 긍휼히 여기고, 의지할 곳이 없는 사람을 염려하며 조용하면서 청고하며 인물이 청수하다고 하였다. 따라서 목의 성정을 가진 사람의 성격은 새로운 시작과 의욕, 의지가 강하고, 진취적이고 미래지향적이며 항상 새로운 일에 호기심이 많고 시작은 잘한다. 사물을 잘 다루기도 하니 손재주가 있고, 바르고 어질며 부드럽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