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행동증거분석에 사용되는 프로파일링 기법

by 빛의기록자 2021. 3. 31.

행동증거분석에서의 프로파일링 기법은 전형적인 프로파일링 기법으로서 범죄자와 피해자 그리고 범죄현장과 관련된 각종 물리적 증거 정보를 토대로 범죄자의 유형과 프로파일을 추정해 낼 수 있다. 산업기밀 유출 방지를 대비하기 위하여 행동증거분석 프로파일링을 우선 고려해야 한다. 그 이유는 범행 수법을 파악하고 특이한 서명의 존재 여부를 검토할 수 있다. 회사에 근무 하는 직원이 다른 직원들이 없는 야간이나 휴일 같은 날에는 사무실에 나와 USB와 같은 휴대용저장장치를 이용하여 회사의 중요한 기밀을 훔쳤다면, 이런 행동을 산업기밀 유출의 범행 수법(M0)에 해당하는 것이며 이러한 범행 수법을 근거로 하여 행동 유형을 파악할 수가 있다.

행동증거분석의 프로파일링 종류와 특징

행동증거분석 프로파일링은 귀납적 방법과 연역적 방법을 둘 다 사용해 범죄자의 유형을 추정해낼 수 있는데, 귀납적 프로파일링 기법은 산업기밀의 유출 관련 범죄 통계자료 및 이미 적발된 산업기밀 유출범죄자들의 범행방식과 교육수준과 가족 구성 등 인구 사회학적 각종 지표와 심리학적 성격유형 자료 등을 토대로 프로파일링 작업을 벌이게 된다. 따라서 귀납적 프로파일링 기법에 의존한다면, 회사에 불만이 많고 금전적 필요성이 높은 현직 직원들이 자신의 직무와 관련된 기밀을 저장장치로 이용해 빼돌린다는 점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연역적 프로파일링은 범죄현장의 각종 증거와 특징들을 토대로 범행 패턴을 유추하는 방식이다. 과거 자료와 유형에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해당 범죄와 관련된 사실과 특징, 증거 등으로 범행 패턴을 파악해야 하므로 연역적 프로파일링은 고도의 분석능력을 요구한다는 점에서 어려움이 있으나, 산업기밀 유출에서는 과거와의 관련성이 다른 사례가 존재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유용성이 크다. 산업기밀 유출 사범의 범행 동기와 피해자와의 관련성 등을 통해 산업기밀을 유출하고 어떠한 방법을 사용하게 됐는가를 재구성함으로써 일반 산업기밀 유출이 아닌 바로 해당 유출 사범에 대한 윤곽을 그릴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산업기밀 유출과 관련한 연역적 프로파일링 기법의 역할이다. 특정한 상황과 장소에서 특정한 방법을 이용해 산업기밀을 유출한 이유를 중점적으로 조명함으로써 범인의 심리적 특성은 물론 윤곽까지 추정하는 작업을 하게 된다. 구체적인 상황에서 이와 특정한 방법으로 산업기밀을 유출할 수 있는 유형은 흔치 않기 때문에 용의자의 범위를 좁혀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연역적 프로파일링 기법은 현장증거가 많지 않은 상황에서 자칫 과거 사례에 의존해 일반화하는 가운데 빠뜨릴 수 있는 용의자를 보완해준다는 점에서 유용성을 볼 수 있다.

<출처:픽사베이>

범죄생물학이나 범죄심리학, 범죄 사회학적 이론에 근거해 산업기밀 유출의 가능성이 큰 유형의 프로파일을 생성하게 된다. 산업기밀 유출 방지 산업보안에 실제로 활용되고 있는 롬브로소 기계장치가 범죄생물학적 이론을 활용한 대표적인 산업기밀 유출의 방지대책으로 보고 있다. 또한, 범죄는 대대로 유전되고 범죄자의 특성을 분석하여 얼굴의 알고리즘을 만들어 출입 통제 모니터링에 활용하고 있다. 롬브로소 기계장치는 출입구에 설치된 카메라로 출입하는 사람들의 얼굴 사진을 분석하여 범죄형 얼굴 데이터베이스와 비교를 하여 위험인물로 판단이 되면, 경보를 울려 범죄자를 잡을 수 있게 만들어진 시스템이다. 범죄 사회학적 관점에서 보더라도 경제적 성공이라는 사회 목표를 합법적인 방법으로 달성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범죄라는 불법적인 수단을 선택하게 된다는 점을 참작해 보면, 산업기밀 유출은 급여와 같은 정상적이고 합법적인 수단으로는 부를 얻기 힘들다고 생각 하므로 금전적 매수와 같은 유혹에 쉽게 넘어갈 수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급여와 비교해서 소비 수준이 지나치게 높거나 빚에 시달리는 사람들이 먼저 산업기밀 유출의 위험성에 노출돼 있다고 볼 수가 있다. 통제이론의 측면에서는 회사에 대한 애착심이 높고 직무에 전념하면서 회사 관련 행사 및 경영진을 믿고 경영방식에 대해 확실한 신념을 가진 직원일수록 회사의 중요 기밀을 밖으로 빼돌릴 가능성이 낮다는 점을 고려하여, 평상시에 회사에 불만이 많거나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직원들을 중점적으로 조사하여 산업기밀 유출 여부를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