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간지의 이해와 형성원리

by 빛의기록자 2021. 3. 23.

간지 <출처:위키디피아>

간지는 동하고 정하는 상반의 이치가 있으므로 간지의 희기가 다르게 나타나는 것도 당연한 이치가 된다. 간지의 희기가 달라 성패가 천간과 지지로 나누어지는 원리적인 자평진전의 설명은 다음과 같다. 1명 가운데 희기는 비록 지지와 천간이 모두 있을지라도 천간은 하늘을 주재하니 동하고 작위가 있으나, 지지는 땅을 주재하니 정하고 쓰이기를 기다린다. 또한 천간은 하나를 주재하고 지지는 많은 것을 암장하니 복이 되거나 화가 되는 것이 어찌 다르지 않을 수 있겠는가. 천간과 지지는 통기하는 바가 있지만 서로 다른 성질을 가지고 있다. 천간은 본래 동하여 쉬지 않고, 지지는 정하여 움직이지 않는다. 하지만 변화가 생길 때는 다른 모습이 된다. 천간 기운 중 정하게 될 때는 합거가 될때이고, 지지 기운 중 동하게 될 때는 충과 회합으로 변화가 생길 때이다.

간동지정의 특징이 있으므로 관살혼잡의 경우에서 천간과 지지의 희기에 차이를 밝히는 자평진전의 설명은 다음과 같다. 비유컨대 갑목이 유금 관성을 쓸 경우, 경신을 만나면 관살이 혼잡되나, 신유는 이러한 예로 여기지 않는다. 신금은 또한 신금의 왕지이고, 신금이 신과 유에 좌하는 것은 마치 관청의 관리가 또한 행정구역의 인장을 장악하는 것과 같다. 두 개의 신금을 만나면 관성을 중첩되게 범한 것이나 두 개의 유금은 이러한 예로 여기지 않는다. 신금이 두 개의 유금에 좌하는 것은 마치 하나이 관청이 두 개의 고을을 통섭하는 것과 같다. 정화가 투출하면 관성을 극상하나, 오화를 만나면 이러한 예로 여기지 않는다. 정화는 동하고 오화는 정하며, 또한 정화와 기토는 함께 암장되어 있으니 장차 재성이 될 것임을 어찌 알겠는가? 갑목 일간이 유금의 정관을 용할 때 천간으로 경, 신을 만나면 관살혼잡으로 여기고 지지로 신, 유를 만나면 관살혼잡으로 여기지 않는다. 이것은 천간은 동하여 관살혼잡이 쉽게 드러나고, 지지는 정하여 관살혼잡의 기운이 드러나지 않기 때문이다. 그리고 지지의 금 기운은 용신의 뿌리가 된다. 지지에 신과 유가 있다면 신 용신의 뿌리가 두 곳에 있는 것이다. 천간과 지지의 관성 혼잡의 차이를 정리하여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갑이 유월에 생한 정관격이다. 천간에 정관 용신이 투출하였다. 운에서 칠살을 만나면 관살혼잡으로 여긴다. 또 갑이 유월에 생한 정관격이 천간에 칠살이 투출하여 칠살격으로 변하였다. 운에서 정관이 오면 살관혼잡으로 여긴다. 간지에서 천간과 지지의 형성원리가 상이하듯이 천간의 동한 운동성에 비해 지지의 정한 성질은 천간과 다른 양상으로 나타난다.

갑이 유월에 생한 정관격인데 지지에서 칠살 신을 만나면 관살혼잡으로 여기지 않는다. 또 갑이 신월에 생한 칠살격인데 운에서 정관 유를 만나면 살관혼잡으로 여기지 않는다. 이렇게 천간과 지지 즉, 간지의 성패가 다르게 나타난다. 관살혼잡과 살관혼잡에서 격국은 청해야 하므로 혼잡 해소가 우선이다. 그러나 명통부와 자평진전에서 뚜렷한 차이점을 직면하게 된다. 명통부는 정관과 칠살이 같이 있으면 좋은 것은 두고, 싫은 것은 버린다. 자평진전은 월련이 편관이면 칠살이 용신이고, 정관이 용신이 아니니 각자가 그 중함을 따른다는 것을 어찌 알겠는가? 라고 하여 두고, 버리는 것에 대한 기준도 역시 월지에 의존한다. 예를 들면 정관격이면 나의 용신이 정관이므로 정관은 남기고, 칠살을 버린다. 그리고 칠살격이면 나의 용신이 칠살이므로 칠살을 남기고, 정관을 버린다. 아무리 좋은 길신 정관이라도 나의 용신이 아니면 과감하게 버려야 한다. 그래서 정관격과 칠살격에서 관살혼잡과 살관혼잡의 해소를 위해 남기고 버려야 하는 자는 오직 월지에 의거하여 결정한다. 정관격의 관살혼잡은 거살류관 되어야 하고, 칠살격의 살관혼잡은 거관류살 되어야 한다. 연해자평에서도 대개 관성이 많으면 혼잡되므로 제거하고 청해야 발복할 수 있다. 거살류관은 바야흐로 복을 논하고, 거관류살은 위세와 권력이 있게 된다 라고 하면서 관성 혼잡을 비롯하여 정관을 남겼을 때와 칠살을 남겼을 경우를 비교한다. 또한 제거하고 남기는 것은 면밀하게 살펴서 격국의 이치에 맞아야 한다고 언표한다. 혼잡에 이어 중관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천간의 중관은 인정한 반면, 지지의 중관은 인정하지 않는다. 천간 두 개의 신은 정관이 중복되어 중관이 되고, 지지 두 개의 유는 중관으로 여기지 않으며 단지 천간 신의 두 개의 근이 된다고 여긴다.길신인 정관은 재로부터의 생을 받는 재생관을 좋아하고, 또 인성을 생하는 관인상생을 좋아한다. 천간에서 식상의 극을 받거나 칠살과 혼잡되거나 지지에서 충을 받거나 형을 이루는 것을 꺼린다. 천간에서 용신이 중복되는 중관보다 지지에서 정관 용신의 뿌리가 되어 유력해지면 좋다. 또한 정관 용신을 극하는 상관이 천간과 지지에 존재하는 경우에 대해 간지의 희기가 다르다. 아래 예시와 같이 천간의 상관 정화은 정관 용신을 극하는 기신으로 작용한다. 하지만 지지의 상관 오화는 정관 용신을 극하는 기신으로 여기지 않는다.정관을 극하는 상관은 패가 크게 나타나므로 격국의 기신으로 작용한다. 운에서 상관 기신이 제거되는 임수 운에는 정임 합으로 기신이 합거되어 대발할 수 있는 기회가 된다. 천간의 경우와 달리 지지의 상관은 정한 상태로 존재하여 충이 미비하다. 하지만 상관 오의 존재는 천간에 있는 상관정의 뿌리가 되므로 기신이 유력하게 되어 좋은 것은 아니다.

천간으로 행하고, 지지로 행하지 않는 경우를 살펴보면 천간과 지지에 화기운이 운으로 올 때 천간의 병, 정은 본신 병화에게 힘이 된다. 하지만 지지의 사, 오는 월지 자수와 충하여 도움이 되지 않는다. 다음은 지지로 행하고 천간으로는 행하지 않는 경우를 살펴보면 천간과 지지에 금기운이 운으로 올 때 천간으로는 경, 신은 관살혼잡과 중관을 발생시킨다. 하지만 지지로 신, 유가 오면 신금 용신의 뿌리가 되어 좋다. 천간과 지지가 같은 오항 기운의 운을 맞이하더라도 음양의 정편이 나누어져서 성패가 갈린다. 병이 자월에 생한 정관격은 운에서 천간의 병, 정을 만나면 방신되어 성이고 지지의 사, 오는 월지 정관을 충하여 패이다. 그리고 갑이 유월에 생한 정관격은 운에서 천간의 경, 신을 만나면 관살혼잡과 중관이 되어 패이고 지지의 신, 유는 천간 신 용신의 근이 되어 성이다.천간의 동기 구분에서 같은 화 기운이 천간으로 병이 오는 운이면 본신정화를 돕게 된다. 물론, 병화가 임수의 극을 받는 면도 있다. 그러나 천간으로 정이 오는 운이면 년간의 정관 임수와 비견 정화가 합이 되어 용신합거로 패가 난다. 지지의 동기 구분에서 같은 금 기운이 지지로 신이 오는 운이면 신의 지장간 무토가 본신 무토의 근이 되기도 하고, 묘신 암합이 있게 된다. 토가 신에서 생한다는 음양가와 토가 사에서 생한다는 의가의 견해가 있다.